본문 바로가기
주식(株式)이야기

무상증자의 의미와 방법 그리고 주가에 미치는 영향

by wild-lynx 2025. 1. 21.
728x90
반응형
무상증자란?

 

무상증자란 주식대금을 받지 않고 무상으로 주주들에게 주식을 나눠주는 것을 말한다.

이미지 출처: 인베스토페디아

 

증자(增資)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자본금을 늘리는 일인데, 새로 주식을 발행해 기존주주(구주)나 새주주(신주)에게 돈을 받고 파는 유상증자와 구분된다. 유상증자는 주주들에게 받은 주식 대금으로 회사는 주식 발행액만큼 자본금이 늘어난다. 반면 무상증자는 증자를 하되, 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기존주주에게 공짜로 주는 것이다. 

 

회계상 자산는 자본(자기자본)과 부채(타인자본)로 나뉘는데, 이 중 자기자본인 자본은 다시 자본금과 잉여금으로 나눠진다. 자본금은 주식 발행을 통해 모은 자금인데 주식수 곱하기 액면가를 통해 계산 가능하다. 잉여금은 자본금으로 사업을해 벌어들인 이익을 말한다. 

 

LX하우시스 재무상태표에서 발췌

 

무상증자는 잉여금에 있는 돈을 자본금으로 옮기는 일인데, 잉여금에 담긴 돈을 일부 꺼내 그만큼 주식을 발행한 뒤 기존 주주들이 가진 지분에 비례해 주식은 나눠 주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잉여금은 줄고 자본금은 늘어나게 되지만 자본 총계에는 변함이 없다.  외부에서 자금을 끌어와 자본금을 늘린게 아니기 때문이다. 

 

 

 


무상증자에 필요한 잉여금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잉여금은 크게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으로 나뉜다.

자본잉여금은 자본준비금으로 주식발해차금, 감자차익, 재평가적립급, 합병차익, 기타 자본잉여금(국고보조금, 공사부담금), 보험차익, 자기주식 매입차액과 매출차액등이 있다. 

 

이익잉여금은 회사가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 중 주주에게 배당을 하고 회사에 쌓아둔 돈이다. 그래서 배당금을 지급하면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를 발행하게 된다. 이익준비금, 이익적립금, 당기말 미처분 이익잉여금, 당기순이익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 모두 잉여금으로 분류돼 무상증자때 주식 발행을 통해 자본금으로 옮겨져 무상증자의 재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무상증자는 왜 하는 걸까요?

 

무상증자는 자본금과 발행 주식수는 늘어나지만 회사의 자산을 이 주머니에서 다른 주머니로 옮기는 것이기때문에 회사 자산에 변화가 없다. 그렇다면 회사는 왜 무상증자를 하는 것일까?

 

① 유통주식수를 늘리는 목적

무상 증자를 하게 되면 주식 보유양 증가로 주식 거래의 유동성이 증가된다. 주식수가 적어서 유동성이 너무 부족하면 거래가 이뤄지지 않아 주가가 급등락 하는 등 주가가 불안정해져 기업가치를 제대로 평가받기 힘들다. 

 

② 이미지 개선과 주가 상승

주식을 주주들에게 공짜로 나눠주면 주주들은 좋아할 수 있다. 또 그만큼 회사 내부에 잉여금이 많다는 뜻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시장에서 해당 기업의 재무구조가 건전하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그렇기 때문에 무상증자는 단기 주가 상승을 부르는 호재로 인식된다. 

 

 

투자시 주의할 점은?

일부 소규모 기업에서는 무상증자를 투기 목적으로 악용하는 경우도 있다. 무상증자를 발표하기 전 미리 주식을 매집해 놓은 후 증자 발표 직후 주가가 오르면 매도하는 세력이 종종 있다. 재무구조가 좋지 않은 소규모 회사가 무상증자를 한다면 회사가 무상증자를 하는 이유를 충분히 파악한 후 투자해야한다. 

 

또 주가가 단기적으로 상승할 수는 있으나 주가가 우상향한다고 단정지을 수 는 없다. 실제로 자본시장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무상증자 직후 권리락일에 무상증자 주식의 주가와 거래회전율은 대폭 증가했으나, 단기적 현상에 그쳐 의미 있는 주주환원 효과를 관측할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실제 무상증자 주식의 누적 초과 수익률은 공시일로부터 30거래일만 지나도 시장수익률에 수렴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즉 무상증자 자체가 반드시 주가 상승을 동반하는 것은 아니다. 기업의 실적이 개선되는데, 한 주당 주가가 너무 높게 형성이 되어있거나 거래량이 현저히 적은 주식의 경우 무상증자를 통해 기업가치가 올라갈 수 있다. 

 

 

 

728x90
반응형